디스커스 장점
- 댓글 통합관리
- SNS 서비스와 연동
디스커스(DISQUS) 티스토리 블로그에 설치하기
회원가입 후 Tool 메뉴로 이동합니다. install comment system 라고 보이죠?
등록한 블로그에 다운버튼을 클릭하면 메뉴가 떨어지는데 거기서 install instruction 을 클릭합니다.
이 글은 티스토리 블로그에 삽입하고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other or Custom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런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다른 서비스들은 상대적으로 설치가 초간단합니다. 티스토리 사이드바 위젯 설치하는 것처럼요. ㅡ,.ㅡ
디스커스가 조금 힘든게 소스를 2개를 skin.html에 넣어주어야 합니다. 잘 읽고 하라는 데로 해야하지만 저같이 html모르는 사람들은 조금 버벅 댈 수 있지요.
티스토리 html편집 메뉴로 이동해서 위의 디스커스에서 준 1번 소스는 를 찾아서 넣어주면 댓글 처럼 포스트 하단에 척하고 붙습니다. 지난번 블로그에는 티스토리 기본 댓글을 기본으로 하고 디스커스를 보조로 넣었었는데 이 참에 메인으로 디스커스를 떡하니 붙였습니다.
2번 소스는 skin.html에 보면 맨 아래에 </body>앞에 붙여 넣으면 됩니다. 이건 찾기 쉽더군요. 소스 맨 아래에 잇어서 ㅋㅋ 근데 어떤 역활을 하는건지는 모릅니다.
이상 디스커스의 장점 및 티스토리 블로그 설치 포스팅을 마쳤습니다. 각자 스킨 소스가 틀릴수도 있기 때문에 위와 같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만 제가 초보인 걸 감안한다면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 잘못되었거나 더 많은 장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디스커스를 사용해서요 ㅎㅎㅎ
'Web > 소셜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희 일어나다. 트위터 중계 (7) | 2010.02.10 |
---|---|
도대체 ‘종이 없는 사무실’은 현실이 될 수 있을까? (2) | 2010.02.01 |
3,000팔로워 1명 VS 1,000명 팔로워 3명 누가 셀까? (0) | 2010.01.06 |
구글트랜드 (social web,social media,web 2.0) 비교 (1) | 2010.01.05 |
@hyunwungjae가 쓰는 Twitter for Iphone 4종 간단 비교 (0) | 2009.12.29 |
WRITTEN BY
- 앱그룹대표 강진영
웹 서비스기획과 소셜웹에 대해 연구하고 실무지식을 공유하는 현웅재의 블로그 since 08.1.28